본문 바로가기

불교인간관4

붓다의 인간관 ① 결정론적 해석의 부정 결정론적 해석의 부정 붓다께서 지금으로부터 약 2,600여 년 전 인도의 북동부 지역에 위치한 카필라바스라는 작은 왕국에서 태어났습니다. 당시 인도의 정치, 경제, 문화, 종교의 중심지는 이 작은 왕국과 거의 인접해 있었다고 여겨지는 마가다 국과 코살라 국이었습니다. 마가다 국은 지금의 인도 비하르 주정부가 있는 곳이고, 코살라 국은 웃타르 프라데슈 주정부가 위치한 곳으로서 이들은 카필바라투스의 현재 위치인 네팔 남부와 접경한 지역입니다. 따라서 출가를 결행한 붓다는 가까운 곳에 위치한 종교와 문화의 중심지로 부터 쉽사리 당시 인도의 종교 사상계의 흐름을 가장 확실하게 경험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붓다께서는 자신의 제자들에게 스스로 경험한 당시의 종교 사상에 대해서 자주 말해 주었다고 합니다. 그.. 2022. 4. 14.
붓다의 인간관 ② 육근과 육경 십이처 인간은 자유의지적 존재 결정론(決定論)적❶ 인간 이해가 만연하던 인도 사상계에서 붓다께서 전혀 새로운 입장을 주장했습니다. 곧 인간이란 철저히 자유의지적 존재라고 전재 했던 것입니다. 그러한 붓다의 입장은 인간을 무엇보다도 ‘육근(六根)’으로 파악하는데서 알 수 있습니다. 육근의 가르침은 인간이란 눈·귀·코·혀·몸, 의지의 여섯 가지 근(根)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가르침입니다. 여기서 ‘근’이라는 말을 먼저 음미할 필요가 있습니다. 근의 원어는 인드리야(Indriya)인데 이 말은 어원적으로 ‘인드라 신의 권능’을 뜻하고, 이차적으로는 주권 또는 왕령(王領)을 뜻하는 말입니다. 그래서 근이라는 말은 ‘절대적인 힘을 가진 어떤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 근이 바로 인간이라는 뜻을 나타낸 것이 육근의 가르침.. 2022. 4. 14.
붓다의 인간관 ③ 십팔계 인간 존재의 본질적인 구조 붓다께서 인간이란 철저하게 자유의지적 존재라고 했습니다. 그러기에 인간이 경험하는 어떤 행복과 불행도 그 근원은 인간 자신일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종교가 궁극적으로 해결해야 할 ‘죽음’이라는 사건도 인간 스스로가 선택한 결과라는 입장을 같습니다. 이처럼 인간만이 인간을 결정하는 과정은 어떤 것일까. 불교에서는 인간 존재의 본질적인 구조를 설명하면서 그 구체적인 과정을 밝히고 있습니다. 먼저 인간을 몸과 마음으로 구성된 존재라고 여기는 것은 상식입니다. 이 중 몸은 물질로 구성된 것으로 그 물질은 인간 외의 자연의 존재들도 구성하고 있습니다. 몸을 구성하는 물질과 일반 자연물을 구성하는 물질이 근본적으로 다른 것은 결코 아닙니다. 인간을 구성하는 마음과 몸에 대해서 살피려는 이.. 2022. 4. 13.
붓다의 인간관 ⑤ 죽음의 실상 죽음의 실상과 불사(不死)의 가능성 인간은 종교적 동물이며 형이상학적 동물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인간이든 동물이든 먼저 해결해야 할 것은 의식주의 확보라고 하겠지만 동물과 달리 인간은 주어진 삶 자체가 지닌 종교적이고 형이상학적인 문제성을 더욱 크게 의식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왜 나는 여기에 있는가? 왜 나는 살아야 하는가? 나는 무엇인가? 왜 나는 결국 죽어야 하는가? 죽음이란 무엇인가? 죽은 뒤에는 어떻게 되는가? 우리들은 이렇게 물으면서 고민을 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의문들 중에서 보다 심각하게 느껴지는 것은 역시 죽음의 문제일 것입니다. 나는 이미 태어나서 여기에 살고 있지만 죽음은 이제 닥쳐올 것이기 때문입니다. 죽음이란 무엇이며 죽고 나면 어떻게 될까? 이 의문이야말로 인간이 던지.. 2022. 4.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