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정의6

붓다의 사회 정의관 인간이란 무엇인가? 이런 물음에 대해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명쾌하게 정의내린 해답은 드뭅니다. 그러나 인도에서 탄생한 불교에서는 인간에 대한 적절한 정의를 내리고 있습니다. 인도어(산스크리트)로 인간은 마누샤(manusya)인데, 이는 '의심하여 사는 자' 라는 뜻입니다. 인생과 세계, 우주와 존재에 대해서, 인간과 인간 사이에 대해서, 인간과 자연에 대해서 인간과 동식물에 대해서 끊임없는 의심과 의문과 물음을 갖는 존재입니다. 이 마누샤에서 오늘날 인간이라고 칭하는 Man(人間, 남녀 인간)이라는 말이 파생되었으니, 인도 고대의 사상이나 불교사상의 깊고 오묘함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 인간이 사는 중생사회를 불교에서는 사바세계라 합니다. 사바세계란 인도어 사바(Sabha)에서 음역된 것으로 ‘.. 2022. 5. 4.
붓다의 인간관 ② 육근과 육경 십이처 인간은 자유의지적 존재 결정론(決定論)적❶ 인간 이해가 만연하던 인도 사상계에서 붓다께서 전혀 새로운 입장을 주장했습니다. 곧 인간이란 철저히 자유의지적 존재라고 전재 했던 것입니다. 그러한 붓다의 입장은 인간을 무엇보다도 ‘육근(六根)’으로 파악하는데서 알 수 있습니다. 육근의 가르침은 인간이란 눈·귀·코·혀·몸, 의지의 여섯 가지 근(根)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가르침입니다. 여기서 ‘근’이라는 말을 먼저 음미할 필요가 있습니다. 근의 원어는 인드리야(Indriya)인데 이 말은 어원적으로 ‘인드라 신의 권능’을 뜻하고, 이차적으로는 주권 또는 왕령(王領)을 뜻하는 말입니다. 그래서 근이라는 말은 ‘절대적인 힘을 가진 어떤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 근이 바로 인간이라는 뜻을 나타낸 것이 육근의 가르침.. 2022. 4. 14.
불교의 진리와 수행 불교의 진리는 신도 감동시킨다. 불교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우고 따르는 종교입니다. 그래서 불교의 교주(敎主)는 부처님인 것입니다. '불교(佛敎)'에서 '불'이란 인도의 산스크리트어 '붓다(Buddha)'의 음사로 이 말은 '깨닫은 자'를 의미합니다. 그러면 무엇에 대한 깨달음인가? 바로 진리에 대한 깨달음입니다.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진리가 과연 신앙의 대상이 될 수 있는가 하는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신만이 신상의 대상이고 진리는 신앙이 될 수 없다는 것은 범부(凡夫)들의 편협된 고집에 불과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불교에서는 신을 중심에 두고 있지 않으며, 오히려 진리를 탐구하고 그 진리대로 살아가려고 하는 것이 불교적인 신앙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진리를 깨달으면 신조차도 초월하는 존재로의 전환.. 2022. 4. 13.
대승불교의 종교적 이해 1. 대승불교의 종교성 대승(大乘, Mahāyāna)이라는 말은 지혜와 자비의 가르침이라고 일컫는 불교의 영역에서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자신의 편협한 시각이나 입장을 극복하는 개방적인 자세를 뜻하는 말로 ‘대승적 자세’ ‘대승적 견지’ ‘대승적 차원’ 등의 용법으로 자주 쓰인다. 그렇지만 대승(大乘)이란 무엇일까? 우선 대승이란 말부터 살펴보자. 대승이란 산스크리트 어로 마하야나(Mahāyāna)인데 ‘크다’ ‘광대(廣大)’ 를 의미하는 마하(Mahā)와 탈것을 의미하는 야나(yāna)가 합성된 것으로서 ‘크나큰 탈 것’ 이란 뜻이다. 불교는 그 가르침의 창시자 석가모니 부처님의 생애에서 성취된 정신성과 윤리성의 구체적인 통일에서 시작된 종교다. 우리가 부처님의 생애를 심사숙고할 때 찾을 수 있는 .. 2022. 4. 13.
유일신 없는 종교로서 불교 과학문명이 눈부시게 발달한 현대라고 하지만 우리는 태어나서 늘고 병들며 죽어가는 생로병사라는 인간 존재의 기본적인 조건에서 벗어날 수 없다. 과학문명은 인공위성과 컴퓨터를 가져다주었지만 인류는 여전히 빈곤과 기아, 전쟁, 질병, 공해, 핵무기의 위험이라는 현대의 불안과 위기 속에서 살아간다. 그래서 우리는 통념상 인생의 고통을 어떤 절대적인 운명, 신과 같은 절대자로부터 주어진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결코 불교의 기본입장이 아니다. 불교는 인생의 고통과 그 원인에 대해서 보다 명료하고 선명한 통찰을 통해 성숙하고 바른 삶을 살아가기 위한 지혜와 자비를 설하는 종교다. 그렇다면 불교는 인간의 숙명적인 고통에 대해서 어떤 종교적 성찰과 해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일까? 인도에서 발원하여 중국과 한.. 2022. 4. 13.
불교의 종교적 이해와 실천 1. 종교와 불교 1870년 뭘러가 영국 왕립 학사원에서 개최한 강연에서 종교학(Science of Religion)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이래 철학, 문화인류학 등 영역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한 오늘날의 현대의 종교학에서도 ‘신과 사람의 관계’라는 오래된 틀 안에서만 종교를 규정하려고 했던 과거의 과거의 종교학은 더 이상 통용되지 않는다. 기독교적 전통 안에서 기독교를 연구해온 종교학자들은 19세기 이후 유신론도 무신론도 아닌 “번뇌를 정화하는 수행, 그것이 불교(精除煩惱是佛敎 정제번뇌시불교)”라는 입장을 표명하는 불교와 같은 위대한 동양의 종교적 전통과 대화를 시작하면서 불교가 그들의 종교관의 틀 안에 적용되지 않는 것을 발견하고서 종교에 대한 새로운 조명을 시작했다. 그 결과 종교에 관한 다양.. 2022. 4.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