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광스님5

붓다의 마음공부∴ 불자가 되고 불교공부를 한다는 것은 곧 마음공부, 마음수행을 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많은 선지식들은 팔만대장경을 마음 심(心)자, 한마디로 표현했습나다. 출가·재가 할 것 없이 또 경공부를 하든, 참선을 하든 수행방식이나 내용에 관계없이 우리는 “마음공부”, “마음수행”이라는 말로 불자가 되는 길을 대신합니다. 어떻게 하는 것이 마음공부인가? 우리에게 익숙한 공부는 인식의 변화, 행동의 변화에 일차적 목표를 두지 않기 때문에 앎과 실천이 언제나 이원적입니다. 그러나 수행과 동의어로 사용되는 불교공부는 앎과 실천의 일원성을 강조합니다. 불교공부는 행동의 변화, 가치관의 변화가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앎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앎의 과정이 곧 실천의 과정이고 변화의 과정입니다. 변화, 실천이 수반되지 않는 앎.. 2022. 6. 24.
붓다의 사상-12연기 12연기(十二緣起)는 불교교리에서 핵심 개념가운데 하나입니다. 그래서인가 12연기는 쉽게 이해하기 어려운 아주 심오한 가르침이라는 선입견이 있습니다. 하긴 부처님께서 6년간의 고행 끝에 깨달으신 연기법을 6단계, 8단계, 9단계, 10단계로 분류해서 설명을 시도하다가 최종적으로 12단계로 마무리 해 놓은 것이 12연기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우리들 수준에서 하루아침에 12연기를 이해한다는 것이 오히려 이상할 수도 있겠습니다. 12연기의 열두고리는 ①무명-②행-③식-④명색-⑤육입-⑥촉-⑦수-⑧애-⑨취-⑩유-⑪생-⑫노사 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12연기가 ‘괴로움이 발생하고 순환하는 구조’라는 관점에서 어느 지점에서 어떻게 고통의 연결고리를 약화시키고 잘라버릴 수 있는지 고민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일단 12단계.. 2022. 6. 24.
붓다의 사상-무상(無常) 무상에 대한 사유는 연기의 깨달음으로 관념적 · 개념적인 무아와는 근본적 차이가 있습니다. 우리는 연기를 깨닫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 자신과 세상만물을 통해 무아(無我)와 무상(無常)을 바르게 봐야 합니다. 그런데 무아를 보는 일이 생각처럼 쉽지 않습니다. 다시 말해 무아를 통해 연기를 보는 일이 현실적으로 그리 효과적이지 않다는 의미입니다. 사실 누가 뭐라고 해도 우리에게는 마음이 있고 육신이 있다는 느낌과 생각을 지울 수 없습니다. 설사 때가 되면 사라지고 없어진다고 해도 현재 살아있는 이 순간만큼은 육신과 마음을 통해 우리의 존재를 끊임없이 체험하고 확인하기 때문에 그것을 우리 자신과 동일시하는 업식(業識) 또한 지울 수 없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무아를 사유하는 일은 자칫 잘못하면 우리의 마음과 .. 2022. 6. 23.
붓다의 사상-연기(緣起) 부처님의 팔만사천 법문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마음 심(心)자 한 단어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부처님 가르침에는 마음 심(心)자에 못지않게 중요한 핵심단어가 있으니 그게 연기(緣起)입니다. 마음이 내적이고 주관적인 느낌이라면 연기는 외적이고 객관적인 느낌입니다. 우리가 알다시피 부처님께서는 고타마 시타르타 태자로 계시던 어느 날 생로병사의 과정을 겪는 인간의 모습을 보시고 고(苦)를 통찰하셨습니다. 그리고는 어떻게 하면 우리 인간들이 그러한 고통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까를 화두로 삼게 되었고, 그 후 출가, 수도하시어서 깨달으신 것이 연기법인 것입니다. 연기법은 분명 있는 그대로의 진리임에 틀림없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붓다가 깨달은 인간관이고 세계관이기도 합니다. 즉 우리 인간과 세계, 우주는 연기적.. 2022. 6. 22.
육바라밀-인욕(忍辱) 육바라밀의 세 번째 실천항목은 인욕바라밀입니다. 인욕(忍辱)은 말 그대로 참고 인내하는 것을 말합니다. 특히 탐진치 삼독 가운데 진심, 즉 성내고 화나는 마음을 참고 다스리는 실천수행법을 말합니다. 지계바라밀과 마찬가지로 인욕바라밀 또한 보시 바라밀을 완성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밑거름으로 작용합니다. 많은 복잡한 인간관계 문제들의 이면을 보면 결국에는 더 많이 주고 더 적게 받아서 손해를 보았다는 의식 · 무의식적 계산에서 비롯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러므로 인욕수행은 정신적인 것이든 물질적인 것이든 주고받는 보시바라밀을 행함에 있어서 더 많이 주고 더 적게 받는다는 생각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훈련으로 이해하면 좋을 것입니다. 흔히 전통적으로 인욕수행은 뭔가 엄청난 멸시나 고통을 인내하고 참아내는 것을 떠.. 2022. 6.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