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승불교5

붓다의 수행관 ④ 대승불교 초기불교의 수행을 통해서 우리는 벽지보리의 깨달음을 성취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벽지보리는❶ 삼막삼보리의 전단계입니다. 따라서 벽지보리에서 머물러서는 안되고 삼먁삼보리의❷ 깨달음을 향하여 나아가야 합니다. 이처럼 벽지보리를 넘어서 삼먁삼보리를 얻고자 하는 실천이 바로 대승 불교의 수행입니다. 따라서 대승불교의 수행은 열반에 대한 부정에서 출발 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벽지보리를 넘어서는 것이 대승불교의 수행인데 벽지보리는 열반과 관련된 깨달음이기 때문입니다. 반야바라밀다의 수행 대승불교의 수행은 반야부 경전에서 먼저 설하는데 이 경전은 반야의 수행을 설하는 경전입니다. 그런데 반야는 실제 열반의 절대성을 부정하면서 출발합니다. 원래 반야는 인도 말 프라즈냐(prajna)를 소리 옮김 한것인데 이 말은 '프.. 2022. 5. 1.
불교의 역사② 대승불교 부파불교(部派佛敎)가 이룩한 아비달마 교학은 아함(阿含)의 교설을 체계 화하는데 큰 기여를 했지만, 한편으로는 석존(釋尊)의 교설을 아함에만 한정시키고, 번쇄한 훈고학적 해석으로 인해 불교를 더욱 난해하고 무미건조하게 만들었습니다. 또한 불교의 궁극적 목적을 무위열반(無爲涅樂)에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이상적인 인간상은 이러한 열반을 증득하는 아라한(阿羅漢)으로 상정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이상적 인간상은 전문적으로 교학을 연구하고 철저하게 수행하는 출가승(出家僧)이 아니고는 성취할 수 없는 것이었습니다. 출가자들은 전문적 학습을 위해 승원에 거주하며 대중들과 멀어졌고, 난해한 교학은 대중에게 큰 장벽이 되었습니다. 이와 같이 부파불교는 자리(自利) 위주의 불교, 출가주의의 불교, 배우는 입장의 불교가 .. 2022. 4. 29.
소승불교와 대승불교의 비교 소승불교(小乘佛敎) 소승이란 작은 수레란 뜻인데, 오로지 자신의 깨달음과 해탈에 초점을 맞추고 수행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소승에서 보는 우주는 천상・아수라・인간계・축생계・아귀계・지옥계 등의 육도세계의 윤회를 벗어나서 해탈에 이름을 목적으로 하게 됩니다. 이 육도중생계(우주)는 끝없이 변화합니다. 성주괴공❶으로 생겨나고, 유지되고, 파괴되어가며, 다시 허공으로 돌아가기를 거듭하는 윤회를 하며, 그 나머지 일체 중생도 역시 생멸하면서 과거・현재・미래를 끝없이 윤회하고 있습니다. 그런 굴레인 생과 사의 윤회의 고통을 영원히 벗어나서 해탈하는데 주안점이 주어지는 것입니다. 그리고 소승불교에서는 수행을 해서 깨달아도 아라한의 경지까지는 가능해도 그 이상은 가능하지 않다고 보는 것입디다. 우리가 믿는 각각의 종교의.. 2022. 4. 23.
불교의 기본 사상-육바라밀(六波羅蜜) 세상을 살아가면서 우리는 자신만을 위한 삶을 살기도 하고 타인을 위한 삶을 살기도 합니다. 어떻게 사는 것이 올바른 삶인가에 대한 판단을 누구에게도 강요할 수는 없는 것이지만, 붓다께서는 우리가 살아가야 할 바른 길을 제시해 주고 있습니다. 그 길은 자신만을 위한 삶은 결코 아니며, 타인과의 과계 속에서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길인 것입니다. 그래서 붓다께서는 위로는 깨달음을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과 모든 것을 함께 하라는 ‘상구보리 화화중생(上求菩提 下化衆生)’고 가르치고 있다. 우리의 삶은 홀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나 아닌 사람들과 서로 연결 된 관계, 즉 연기의 관계에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어떠한 방식으로 타인을 바라보느냐 하는 것은 깨달음을 이루고 부처님의 세상을 이루어 나가는데 있어서 대단.. 2022. 4. 18.
대승불교의 종교적 이해 1. 대승불교의 종교성 대승(大乘, Mahāyāna)이라는 말은 지혜와 자비의 가르침이라고 일컫는 불교의 영역에서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자신의 편협한 시각이나 입장을 극복하는 개방적인 자세를 뜻하는 말로 ‘대승적 자세’ ‘대승적 견지’ ‘대승적 차원’ 등의 용법으로 자주 쓰인다. 그렇지만 대승(大乘)이란 무엇일까? 우선 대승이란 말부터 살펴보자. 대승이란 산스크리트 어로 마하야나(Mahāyāna)인데 ‘크다’ ‘광대(廣大)’ 를 의미하는 마하(Mahā)와 탈것을 의미하는 야나(yāna)가 합성된 것으로서 ‘크나큰 탈 것’ 이란 뜻이다. 불교는 그 가르침의 창시자 석가모니 부처님의 생애에서 성취된 정신성과 윤리성의 구체적인 통일에서 시작된 종교다. 우리가 부처님의 생애를 심사숙고할 때 찾을 수 있는 .. 2022. 4.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