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모든 것은 인연이 닿아야 이루어 집니다.
한알의 곡식이 여물기 위해서도 뜨거운 태양, 때맞춰 내리는 비, 그리고 결실기에는 마른 바람이 골고루 불어 주어야 합니다.
여러가지 인연 인데 ,어느 한 가지라도 갖추어지지 않는다면 곡식은 여물지 않을 것입니다.
한알의 곡식에도 이토록 하늘과 땅, 자연의 조화의 인연이 있어야 하는데 하물며 만물의 영장이라고 불리우는 사람이 이 세상에 태어나기 위해서 있어야 할 많은 소중한 인연이야 말 할 나위가 있겠습니까?

인간은 끝없는 세월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살아오면서 알게 모르게 지은 여러가지 인연이 모여서 지금의 이 생을 받았다고 합니다.
육도 윤회의 여섯 갈래 가운데 다른 곳에 떨어지지 않고
사람의 몸을 받은 것을 보면,
우리가 지은 인연들은 참으로 선근공덕이 아니라 할 수 없을 것입니다.
우리의 인생이 자신이 과거세에 지은 과보를 이 생에 받기 위해 태어났다고 하고,
또 남에게 빚진 것을 갚고,
남에게 해되는 일을 한 것을 참회하기 위해 태어났다는 말도 있습니다.
그래서 지은 공덕이 많은 사람은 이 생에서 잘 살고,
좋은 공덕을 닦지 않아 전생에 잘못이 많은 사람은 이 생에 태어났어도 힘겹고 고달픈 삶을 살게 된다고 합니다.
이 말에 따르면 이 생은 견뎌내야 할 과보일 뿐,
향상도 극복도 불가능한 것이라고 해서 인생을 소극적 보며 살아서 되겠습니까?
부처님 말씀에 사람으로 태어나기 어렵고
그 중에서도 부처님의 가르침을 만나기가 정말로 어렵다고 했는데,
하물며 그 어려운 단계를 다 지난 우리들에게 설사 지은 업이 있다고 하더라도 부처님의 정법 속에 사는 지금,
업의 소멸에 짓눌려 살아서 되겠습니까?
오직 우리에게는 깨달음을 위한 수행과 정진만이 있을 뿐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거룩한 만남과 깨달음을 위해 이 세상에 태어났다' 고 말할 수 있습니다.
즉 우리는 지난 세월에 지은 업보를 갚기 위한 슬픈 삶이 아니라,
깨달음의 원력을 실현하는 기쁜 삶 이라는 것을 알고 살아야 할 것입니다.

'붓다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찰의 의미와 구조 (0) | 2022.04.21 |
---|---|
불자의 신행 생활 (0) | 2022.04.20 |
불교의 수행법-정근(情勸) (0) | 2022.04.20 |
불교의 수행-간경(看經) (0) | 2022.04.20 |
불교의 수행-참선(參禪) (0) | 2022.04.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