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붓다담소

오욕칠정(五慾七情)

by 파장波長 2023. 2. 8.

오욕칠정(五慾七情)이란?

오욕(五慾)은 사람의 감각인 오관(五官), 색(色) · 성(聲) · 향(香) · 미(味) · 촉(觸)에서 비롯되는 원초적 · 본능적 욕망이고, 칠정(七情)은 사람의 오관을 통해 일어나는 일곱 가지의 감정(정서), 희 · 노 · 애 · 락 · 애 · 오 · 욕(喜, 哀, 樂, 愛, 惡, 慾)입니다.


오욕(五慾)은?

세속적인 인간의 욕망 전반을 뜻하는데 곧, 재물욕(財物慾), 명예욕(名譽慾), 식욕(食慾), 수면욕(睡眠慾), 색욕(色慾)입니다

불교에서 눈(眼) · 귀(耳) · 설(鼻) · 혀(舌) ·몸(身)의 다섯 가지 감각기관(五根)이 각각 색(色) · 성(聲) · 향(香) · 미(味) · 촉(觸)의 다섯 가지 감각 대상(五境)에 집착하여 야기되는 다섯 가지 욕망으로 '오경을 향락'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것이 인간의 다섯 가지 감각 대상 그 자체는 욕망이 아니지만, 욕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므로 오경도 오욕이라고 부릅니다.

① 식색성야(食色性也) : 식욕과 성욕은 인간이 선천적으로 가지고 있는 고유한 성(性) 이다.
② 욕자지색(欲炙之色) : 남의 물건을 가지고 싶어하는 마음이 얼굴에 나타남.
③ 포난생음욕(飽煖生淫欲) : 배부르게 먹고 따뜻이 입으면 자연히 생기는 음욕.
④ 호랑지심(虎狼之心) : 사납고 모진 마음씨.
⑤ 견물생심(見物生心) : 남의 것을 실제로 보면 가지고 싶어하는 생각이 일어남
⑥ 축록자불견산(逐鹿者不見山) : 이욕(利慾)에 빠져 큰 해로움이 있어도 모르고 계속 질주함.
⑦ 청심절욕(淸心節慾) : 맑은 마음으로 욕심을 억제함.

육욕(六欲)이란?

① 색욕(色慾) 즉, 빛깔에 대한 탐욕
② 형모욕(形貌欲) 즉, 미모에 대한 탐욕
③ 위의자태욕(威儀姿態欲) 즉, 걸음걸이나 태도에 나타나는 애교(愛嬌)에 대한 탐욕
④ 언어음성욕(言語音聲欲) 즉, 말, 음성, 노래 소리 등에 대한 탐욕
⑤ 세활욕(細滑欲) 즉, 부드러운 살결에 대한 탐욕
⑥ 인상욕(人相欲) 즉, 사랑스러운 인상에 대한 탐욕 등을 말하며, 이러한 애욕에 탐닉(耽溺)되면 마음이 산란하고 이성을 잃고 헤매게 된다. 이 여섯 가지 욕심이 일어나지 않아야 어떤 경계에도 떨어지지 않고 안정된 지성을 회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칠정(七情)

칠정은 사람의 일곱 가지 감정 희(喜) ·노( 怒) · 애(哀) ·낙(樂) · 애(愛) · 오(惡) · 욕(欲)입니다. 유학(儒學)에서 인간의 여러 가지 감정을 통틀어 일컫는 말로 칠정이라는 표현이 처음 나타나는 곳은 예기(禮記), 예운편으로 인간의 여러 감정들을 기쁨(喜), 노여움(怒), 슬픔(哀), 두려움(懼), 사랑(愛), 싫어함(惡), 바람(欲)의 일곱으로 묶어 나타내었습니다. 후대에서는 대개 중용(中庸)에서 말하는 기쁨(喜), 노여움(怒), 슬픔(哀), 즐거움(樂)을 가리킵니다.

한의학에서는 인간의 감정을 희(喜, 기뻐하는 것), 노(怒, 성내는 것), 우(憂, 근심하는 것), 사(思, 생각하는 것), 비(悲, 슬퍼하는 것), 경(驚, 놀라는 것), 공(恐, 겁내는 것) 등 희노우사비경공(喜怒憂思悲驚恐)의 7가지로 나누고 그 정도가 과하거나 부족한 것을 스트레스로 보며, 이 스트레스가 신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칠정(七情)은 인간 고유의 감정으로 이를 잘 이해하면, 스트레스를 벗어나는 데 도움이 됨니다.

① 희즉기완(喜則氣緩) : 너무 편하면 게을러진다는 말과 비슷하다. 몸과 마음이 다 나태해져 긴장감이 없어도 생명 활동이 나약해져 오히려 병이 잘 생긴다.
② 노즉기상(怒則氣上) : 화를 내면 기운이 위로 뜬다. 기운이란 우리 몸을 살아 움직이게 하는 생명 기운을 말한다. 그러니 피도 당연히 노기(怒氣)로 인해 위로 뜨면 머리가 아프고 눈이 충혈되며 얼굴이 벌겋게 달아오른다.
③ 우즉기울(憂則氣鬱) : 우울하고 걱정이 있으면 생명 활동이 활발하지 않다. 날씨로 말하면 흐린 날과 같아서 화창하고 생동감 넘치는 맛이 없다. 오래 우울하면 사람도 시들어질 것이다.
④ 사즉기결(思則氣結) : 생각이 많으면 기운이 맺힌다. 비유하면 태양을 그릴 때 원을 그리고 테두리 밖에 빗살을 그어 밝음을 표시하는데 달을 그릴 때는 원만 그리고 말 듯이, 생각을 많이 하고 있으면 가만히 집중이 되니 역시 생명 활동이 상하좌우로 활발하게 되지 않아 기운이 맺힌다.
⑤ 비즉기소(悲則氣消) : 슬픔 · 비관 · 낙심 · 불만에 사로잡히면 기운이 까라져 버린다. 소(消) 자는 햇빛에 눈사람 녹듯이 기운이 스르르 녹아내린다는 뜻이다.
⑥ 경즉기산(驚則氣散) : 부지불식간에 깜짝 놀라면 기운이 왈칵 흩어져 버리니, 공장 밖에 불이 나서 사람들이 일손 놓고 불구경하러 나간 것처럼 몸이라는 공장이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다.
⑦ 공즉기하(恐則氣下) : 겁을 내고 공포에 떨면 기운이 밑으로 푹 꺼져버린다.


불교에서 이르는 희 · 노 · 우 · 구(懼, 두려움) · 애 · 증(憎) · 욕의 일곱 감정은 유가(儒家)에서는 희(喜) · 노(怒) · 애(哀) · 구(懼) · 애(愛) · 오(惡) · 욕(欲)이라고 풀이하고 있지만, 불교는 인도에서 전파되었기 때문에 번역되는 과정에서 그 용어들이 다른 형태로 바뀌었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칠정에서 말하는 근심(憂)은 슬픔(哀)으로, 증오(憎)는 미움(惡)으로도 달리 해석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불교와 유교에서 말하는 칠정은 거의 같은 개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 인간은 스스로를 통제하려고 해도 오욕칠정(五慾七情)에 사로잡혀 살아가고 있다. 공자(孔子)는 나이 오십을 지천명(地天命)이라 하였고 육십을 이순(耳順), 칠십을 종심(從心)이라 하였습니다. 나이 쉰이 되어서야 인생이 뭔가를 알았고 예순에야 어떠한 말을 들어도 감정 상하는 일이 없었고 일흔이 되어서야 욕심과 감정을 다스릴 줄 알았다는 것입니다. 나이를 먹는다는 것은 지식을 넓혀가는 것이 아니라 인격이 깊어가는 것입니다.

인격의 완성은 자신의 욕심과 감정을 잘 다스리는 것이다.

'붓다담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제나 나와 함께 하는 것  (0) 2024.02.22
세상에서 가장 귀한 것  (0) 2024.02.21
붓다의 마음공부∴  (0) 2022.06.24
육바라밀-정진(精進)  (0) 2022.06.21
육바라밀-인욕(忍辱)  (0) 2022.06.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