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붓다교리51

유일신 없는 종교로서 불교 과학문명이 눈부시게 발달한 현대라고 하지만 우리는 태어나서 늘고 병들며 죽어가는 생로병사라는 인간 존재의 기본적인 조건에서 벗어날 수 없다. 과학문명은 인공위성과 컴퓨터를 가져다주었지만 인류는 여전히 빈곤과 기아, 전쟁, 질병, 공해, 핵무기의 위험이라는 현대의 불안과 위기 속에서 살아간다. 그래서 우리는 통념상 인생의 고통을 어떤 절대적인 운명, 신과 같은 절대자로부터 주어진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결코 불교의 기본입장이 아니다. 불교는 인생의 고통과 그 원인에 대해서 보다 명료하고 선명한 통찰을 통해 성숙하고 바른 삶을 살아가기 위한 지혜와 자비를 설하는 종교다. 그렇다면 불교는 인간의 숙명적인 고통에 대해서 어떤 종교적 성찰과 해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일까? 인도에서 발원하여 중국과 한.. 2022. 4. 13.
불교의 종교적 이해와 실천 1. 종교와 불교 1870년 뭘러가 영국 왕립 학사원에서 개최한 강연에서 종교학(Science of Religion)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이래 철학, 문화인류학 등 영역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한 오늘날의 현대의 종교학에서도 ‘신과 사람의 관계’라는 오래된 틀 안에서만 종교를 규정하려고 했던 과거의 과거의 종교학은 더 이상 통용되지 않는다. 기독교적 전통 안에서 기독교를 연구해온 종교학자들은 19세기 이후 유신론도 무신론도 아닌 “번뇌를 정화하는 수행, 그것이 불교(精除煩惱是佛敎 정제번뇌시불교)”라는 입장을 표명하는 불교와 같은 위대한 동양의 종교적 전통과 대화를 시작하면서 불교가 그들의 종교관의 틀 안에 적용되지 않는 것을 발견하고서 종교에 대한 새로운 조명을 시작했다. 그 결과 종교에 관한 다양.. 2022. 4. 13.
종교 이해의 방법(3) 종교 조직과 사회, 그리고 윤리 1. 종교와 윤리 이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종교는 도덕적 행위에 관해 거의 공통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 도둑질하지 말것, 거짓말하지 말 것, 죽이지 말 것, 허용된 범위 내에서 성관계를 가질 것 등 도덕적 금지 조항은 대부분 종교에서 나타난다. 그러나 도덕적 영역은 특정 사회의 전체적인 세계관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실제 각 종교의 도덕적, 윤리적 명령들은 각각 그 의미가 매우 다르다. 특히 예배 참석, 순례, 자선 등의 종교적 의무와 달리 도덕적 의무들은 세속사회의 실질적인 이해 관계를 반영하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세속적 힘의 사용에 과놘 문제로 힘은 살생, 정복등을 위해 사용한다. 그런데 이슬람에서는 세속적인 힘을 알라의 지배의 표현 및 그것의 강화 수단으로 .. 2022. 4. 13.
종교 이해의 방법(2) 신화의 교리 및 제의 1. 신화에 대한 인식 신화에 대해서는 다양한 입장들이 존재한다. 가장 일반적인 입장은 그리스-로마 신화나 단군신화와 같이 재미있는 옛날이야기로 보거나 위대한 일이나 인물에 대한 찬사 정도로 보는 것이다. 때로는 비과학적인 것에 대한 경멸조의 언사 속에 신화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신화는 사실적인 이야기(정보)거나 허구적인 이야기(유희)의 어느 것에도 속하지 않으며, 인간 삶의 궁극적인 문제들에 대한 물음과 답변의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신화(myth미쓰)는 이야기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뮈토스(mythos)에서 유래했다. 처음 ‘뮈토스’는 신들의 이야기 정도로 쓰였으나, 그리스 철학자들에 의해 경멸조로 사용되기 시작한 이래 중세 기독교에서 기독교의 이야기 이외의 다른 이.. 2022. 4. 13.
종교 이해의 방법(1) 종교 정의 및 개념의 역사는 종교 이해의 여러 역사적 과정을 잘 드러내 준다. 그러나 서구에서의 종교학은 19세기 이후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이는 오늘날 유용한 많은 방법들을 제시해 주고 있다. 학문의 중심이었던 철학에서 분화한 수많은 학문들과, 인류학, 사회학, 심리학, 언어학, 자연과학, 문화예술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종교에 대해 탐구하고 설명하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또한 교학이나 신학 등 종교 내부의 학문적 전통들도 강력하게 존재한다. 그러나 역시 포괄적 종교 이해에 가장 많은 공헌을 하는 학문은 종교학이라고 할 수 있다. 근대적 의미에서의 종교학은 19세기 막스 뭘러(Max Müller)가 종교과학The science of religion 이라는 명칭을 붙인 이래 현대에서의 비교종교학 Co.. 2022. 4. 13.
종교 정의와 종교의 역사 사람들이 종교에 대해 말할 때 ‘종교’ 라는 말이 의미하는 바는 다양하다. 종교를 믿는 사람에게 ‘종교로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던지면 배부분은 머뭇거리다가 결국은 자신의 종교를 중심으로 이야기하곤 한다. 비종교인들의 경우도 종교에 대해 적대적인 태도를 보이거나 아니면 종교의 윤리적, 교화적 기능, 또는 사회봉사 할동 등에 대해 막연한 기대를 표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는 종교 개념이 정확하게 의미와 내용이 규정되지 않은 채 사용되고 있음에 연유한다. 1. 종교의 상식적 정의 종교에 대한 상식적이고 일반적인 정의는 매우 다향하다. 대표적인 것으로 종교란 ‘하나의 믿음’ 이라는 정의가 있다. 이는 인간의 유한성과 자연의 불가항력에 따른, 절대적 존재에 대한 의지와 피난의 대상으로서 종교를 일컫는다. 그러.. 2022. 4.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