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23

제10장 도장품(刀杖品) 어떤 사람이 오래 앓아 더러운 몸으로 누워 있었다. 사람들은 모두 그 냄새를 꺼려 아예 바라보지도 않았는데, 붓다께서는 몸소 나아가 더운물로 그를씻어주었다 나라의 임금이나 백성들이 붓다께 여주었다. ”부처님처럼 귀하신 분이 어찌 몸소 병든 이 더러운 사람의 몸을 씻 어주십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부처가 이 세상에 나타난 까닭은 바로 이런 궁하고 외로운 사람들을 위한 것이요.병들고 야윈 사람들과 모든 빈궁하고, 고독한 노인들을 도와 공양하면 그 복은 한이 없을 것이요 그공덕을 차츰 쌓으면 반드시 큰 도를 얻을 것이요.” 刀杖品者 敎習慈仁 無行刀杖 賊害衆生 “도장품이란, 자비와 인자함을 배워서 칼이나 몽둥이로 중생을 해치는 일이 없도록 한 것이다” 논쟁에서 서로의 의견이 엇갈려 화가 잔뜩 난 다섯 .. 2024. 2. 29.
제11장 노모품(老耄品) 사람에게 부지런히 힘쓰기를 가르치되 목숨과 더불어 다투지 않으면 늙어서 후회하여도 소용이 없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왕의 화려한 수레도 닳아 없어지고 이 몸도 그와 같이 늙어 버리지만 선한 이의 가르침은 시들지 않는다. 선한 사람끼리 진리를 말하므로 배움이 적은 사람은 황소처럼 늙어간다. 육신의 살은 찌지만 그의 지혜는 자라지 않는다. 이 집 지은 이를 찾아 이리 기웃 저리 기웃 하였지만 찾지 못한 채 여러 생을 보냈다. 생존은 어느 것이나 괴로움이었다. 집을 지은 이여 이제 그대를 알게 되었다.그대는 또다시 집을 짓지 않으리 기둥은 부서지고 서까래는 내려앉았다. 마음은 만물에서 떠나고 육체의 욕망은 말끔히 씻어 버렸으니 젊었을때 수행하지 않고 정신적인 재산을 모아 두지 못한 사람은 고기 없는 못가의 늙.. 2024. 2. 29.
제12장 애신품(愛身品) 자기를 사랑할 줄 안다면 자신을 잘 지켜야 한다. 지혜로운 사람은 밤의 세 때 중 한번쯤은 깨어 있어야 한다. 먼저 자기 자신을 바로 갖추고 그런 다음에 남을 가르쳐야 한다. 이와 같이 하는 지혜로운 이는 괴로워할 일이 없게 된다. 남을 가르치듯 스스로 행한다면 그 자신을 잘 다룰 수 있고 남도 잘 다스리게 될 것이다. 자신을 다루기란 참으로 어렵다. 자기야 말로 자신의 주인 어떤 주인이 따로 있을까? 자기를 잘 다룰 때 얻기 힘든 주인을 얻은 것이다. 愛身品者 所以勸學 終有益己 滅罪興福 애신품자 소이권학 종유익기 멸죄홍복 애신품은, 학문을 권하는 까닭은 끝내는 자신을 유익하게 하며 죄를 없애고 복을 일으키기 위한 것임을 밝힌 것이다. 어느 왕과 왕비 사이에 아기가 없었다. 붓다는 그들이 아기를 갖지 못.. 2024. 2. 29.
제13장 세속품 (世俗品) 세속품이란, 세상은 허깨비와 같고 꿈과 같으니 허공에 뜬 꽃과 같은 것들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힘써 도를 닦아야 한다는 것을 말하였다, 世俗品者 說世幻夢 當捨浮華 勉修道用 세속품자 설세환몽 당사부화 면수도용 世:인간세 俗:풍속속 品:물건품 說:말씀설 幻:헛보일환 夢:꿈몽 當:마땅당 捨:버릴사 浮:뜰부 華:빛날화 勉:힘쓸면 修:닦을수 道:길도 用:쓸용 어느 젊은 수행승은 자신이 애송이라고 불리자 몹시 기분이 상했다. 아무도 그의 상한 마음을 진정시킬 수 없었다. 결국 붓다가 그를 불렀다. 붓다는 그를 달래는 듯한 태도를 취하며 이렇게 말씀하셨다. 167 [풀이1] 비열한 짓을 하지 말라. 게으름을 피우며 건들거리지 말라. 그릇된 견해에 따르지 말라. 이 세상의 근심거리를 만들지 말라. [풀이2] 하찮은 것.. 2024. 2. 29.
제14장 불타품(佛陀品) 술불(불타)품은, 부처님의 신통한 덕은 어떤 것도 이롭게 하여 구제하지 못하는 것이 없으며 부처님의 밝은 덕은 세상의 법칙이 된다는 것을 말하였다. 述佛品者 道佛神德 無不利度 明爲世則 술불품자 도불신덕 무불리도 명위세칙 述:펼술 佛:부처불 品:물건품 道:길도 神:정신신 德:클덕 利:이로울리 度:법도도 則:법칙칙 마간디야라는 아리따운 처녀를 비롯한 세 여인이, 아버지인 악마의 명에 따라 붓다의 수행을 방해하기 위해 찾아왔다. 붓다는 악마의 세 딸이 아무리 요염한 모습으로 유혹을 걸어와도 만물의 실상을 여실히 아는 여래에게는 한낱 푸석돌에 불과함을 다음과 같이 말씀 하셨다. 179 [풀이1] 부처의 승리는 깨뜨릴 수 없고 아무도 그의 승리에 미칠수 없다. 부처의 경지는 넓어서 끝이 없고 자취를 남기지 않는다.. 2024. 2. 29.
제15장 안락품(安樂品) 인간이라면 누구가 꿈꾸는 고통이 없고 안락한 경지에 도달하기를 원하는 사람이 해야 할 행동의 규범들을 밝혔다. 사소한 다툼에 눈이 멀어 분노와 원한에 불타는 삶은 고뇌만 따를 뿐이고, 모든 집착에서 벗어나 다투지 않고 청정하게 살아가는 것이 참된 평안을 얻는 길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안녕품(안학품)은 편안한 마음을 얻는 것과 위태한 상황에 떨어지게 되는 차이를 들어, 악한 행동을 버리고 착한 행동을 하여서 즐거움을 누리고 지옥에 떨어지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밝혔다. 安寧品者 差次安危 去惡卽善 快而不墮 안녕품자 차치안위 거악즉선 쾌이불타 安:편안안 寧:편안할녕 品:물건품 差:다를차 次:버금차 危:위태할위 去:갈거 惡:악할악 卽:곧즉 善:착할선 快:쾌할쾌 墮:떨어질타 두 부족들 간에 강물의 소유권을 놓고 .. 2024. 2. 29.
제16장 애호품(愛好品) 일시적으로는 만족을 주지만 그 이후 영원한 고통이 따르는 감각적 욕망에 매달리지 말고, 잠시 힘들지만 영원한 즐거움을 주는 바른 도리를 따르면 근심이 없다는 것을 밝혔다. 호희품(好喜品) 호희품은, 사람들이 얻고자 하는 여러 가지 즐거움을 막고 욕심내지 않으면 근심과 걱정이 없다는 것을 밝힌다. 好喜品者 禁人多喜 能不貪欲 則無憂患 호희품자 분인다희 능불탐욕 즉무우환 好:좋을호 喜:기쁠희 品:물건품 禁:금할금 多:많을다 能:능할능 貪:탐할탐 欲:하고자할욕 則:곧즉 憂:근심후 患:근심환 부모로부터 극진한 사랑을 받던 젊은이가 부모의 승락 없이 승단에 들어왔다. 그러자 그의 부모도 승단에 들어오게 되었다. 그러나 그들은 서로 헤어져 있기를 거부했으며, 끝내 혈연적인 애정을 버리려 하지 않았다. 이 이야기를 들.. 2024. 2. 29.
제17장 분노품(忿怒品) 불처럼 타오르는 분노를 버리고 욕됨을 참는 수행의 길을 제시하고, 자애로운 마음으로 살아가면 현세에서는 모든 사람들이 좋아하며 죽어서는 천상에 태어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분노품은, 성내는 것이 해롭다는 것을 잘 알아서 너그럽고 넓으며 자애롭고 부드러운 마음을 가지면 하늘이 돕고 사람들이 사랑한다는 것을 밝힌다. 忿怒品者 見瞋恚害 寬弘慈柔 天祐人愛 분노품자 견진에해 관홍자유 천우인애 忿:성낼분 怒:성낼노 品:물건품 見:볼견 瞋:부릅뜰진 恚:성낼에 害:해할해 寬:너그러울관 弘:클홍 慈:사랑자 柔:부드러울유 祐:복우 愛:사랑애 목갈라나 존자의 여동생은 피부병으로 고통받고 있었는데, 오빠의 권유에 따라 사원을 건립하였다. 그러자 병은 씻은 듯이 사라져다. 붓다는 그녀의 병이 화를 자주 내는 성격 때문이.. 2024. 2. 29.
제18장 진구품(塵垢品) 인간을 오염시키는 것이 무엇이며, 이 모든 더러움에서 벗어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를 밝혔다. 특히 모든 더러움 중에 가장 큰 것은 어리석음이며, 바른 도리를 배워서 어리석음에서 벗어나는 것이 열반에 이르는 지름길이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진구품은, 깨끗한 것과 더러운 것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깨끗한 것을 배우고 더럽고 욕된 것을 행하지 말 것을 가르쳤다. 塵垢品者 分別淸濁 學當潔白 無行污辱 진구품자 분별청탁 학당결백 무행오욕 塵:티끌진 垢:때구 品:물건품 分:나눌분 別:나눌별 淸:맑을청 濁:흐릴탁 學:배울학 當:마땅당 潔:깨끗할결 行:다닐행 污:더러울오 辱:욕될욕 자신의 늙은 아버지가 아무런 선행도 하지 않은 채 나이만 먹게 되자, 아들은 붓다와 제자들을 집으로 초청하여 그 아버지의 이름으로 보시를.. 2024. 2. 29.
제19장 봉지품 (奉持品) 지혜로운 사람 · 장로(長老) · 사문(沙門)이라는 이름이 내포하고 있는 참된 의미를 밝혔다. 이 품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명실상부(名實相符)한 생활태도를 강조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사문은 계율을 지키며 청정한 생활을 해 나갈 때 비로소 사문이라고 부르는 것이지, 단순히 머리를 깎고 출가했다는 것만으로 사문이라고 부를 수는 없다는 것이다. 품의 제목에서 ‘봉지’란 ‘법을 받들어 지닌다’는 뜻이다. 이러한 이름을 붙인 것은 본문 중에 우리가 법을 받들어 지니는 사람이라고 부르는 자는 법을 많이 알고 말이 유창해서가 아니라 법에 대해서 아주 조금밖에 알지 못하더라도 그 법에 의지해서 바르게 행동하는 사람이기 때문이라는 내용에 서 유래한 용어이다. 봉지품은, 바른 도리를 풀어서 설명한 것으로, 법은 착.. 2024. 2. 29.
제20장 도행품(道行品) 진리를 깨달아 열반에 도달할 수 있게 하는 바른 도리들에 대해 밝혔다. 바른 도리로 가장 먼저 든 것은 팔정도(八正道) · 사제(四諦)이다. 이밖에 계율을 지켜 삼독(三毒)에서 벗어날 것을 가르쳤다. 도행품은, 아주 중요한 것을 설한 것으로, 해탈의 도리가 이 중 가장 오묘한 것이다. 道行品者 旨說大要 度脫之道 此爲極妙 도행품자 지설대요 도탈지도 차위극묘 道:길도 行:다닐행 品:물건품 旨:뜻지 說:말씀설 要:요긴할요 度:법도도 脫:벗을탈 此:이차 極:극진할극 妙:묘할묘 설법을 위한 여행을 마치고 붓다가 사원으로 돌아왔을 때, 몇 명의 비구들이 자신들이 걸어온 수행의 길 중 어느 것이 가장 옳은 길인가에 대하여 토론하고 있었다. 이것을 들은 붓다는 “너희들이 말하는 길은 너희의 해탈과는 무관한 길이니라. .. 2024. 2. 29.
제21장 광연품(廣衍品 ) 여러가지 말씀을 담았다는 뜻에서 광연품이라고 하였다. 도를 가까이 할 것, 계율을 지킬 것, 홀로 지내며 선정(禪定)을 닦기에 힘쓸 것, 삼보(三寶)에 귀의할 것 등을 밝혔다. 광연품은, 모든 선과 악을 사소한 것에서 중대한 것까지 모두 설하고, 그것에 해당하는 글들을 증거로 제시하였다. 廣衍品者 言凡善惡 積小致大 證應章句 광연품자 언범선악 적소치재 증응장구 廣:넓을광 衍:넓을연 品:물건품 言:말씀언 凡:무릇범 善:착할선 惡:악할악 積:쌓을적 致:이를치 證:증거증 應:응할응 章:글장 句:글귀구 기근 · 질병 · 더러움 등으로 고통받고 있는 주민들을 구하기 위하여 붓다는 베샬리라는 마을을 방문하였다. 붓다가 찾아오자 여러 기적적인 일들이 일어났다. 붓다는 이것을 단지 당신이 전생에 행한 선한 일들 때문에 .. 2024. 2. 29.
제22장 지옥품(地獄品) 지옥에 떨어지는 것은 자신이 지은 행동의 결과이며, 어떤 행동으로 말미암아 지옥에 떨어지는가를 밝혔다. 즉 계율을 지키지 않고 방탕하게 살아가는 것, 그러면서도 다른 사람의 공양을 받는 것, 바른 법을 따르지 않는 것 등이 그것이다. 형식적인 것에 치우치는 행위보다는 도덕적 준칙에 따르는 생활이 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일관되게 강조하였다. 지옥품은 지옥의 일을 말한 것으로 악을 행하면 악한 과보를 받아서 죄에 따라 끌려 다니게 되며 결코 용서받지 못한다는 것을 밝혔다. 地獄品者 道泥犂事 作惡受惡 罪牽不置 지옥품자 도니리사 악악수악 죄견불치 니리(泥犂) : 지옥의 다른 이름이다. 붓다를 모함하려는 이교도들은 살인 청부업자들을 고용하여 어느 여인을 살해하여 신성한 붓다의 사원 옆에 아무렇게나 던져놓았다. 그리.. 2024. 2. 29.
제23장 상유품(象喩品) 인간의 여러 가지 행위를 코끼리에 비유하여 설명함으로써 듣는 사람이 보다 큰 깨달음을 얻을 수 있게 하였다. 여기서 코끼리는 긍정적인 의미와 부정적인 의미의 두 가지 측면에서 모두 비유된다. 예를 들면, ‘잘 조련된 코끼리가 왕이 타는 수레에 쓰이듯이 스스로를 다스릴 줄 아는 사람이라야 다른 사람들의 믿음을 얻게 된다’고 할 때의 코끼리는 잘 수행한 사람을 가리키는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었고, ‘코끼리처럼 탐욕에 얽매여 만족할 줄 모른다’고 할 때의 코끼리는 수행을 게을리하고 탐욕을 채우려고 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상유품은, 사람들에게 몸을 바르게 할 것을 가르친 것으로 선을 행하면 선한 과보를 받고 복된 과보가 사람을 즐겁게 함을 밝혔다. 象喩品者 敎人正身 爲善得善 福報快.. 2024. 2. 29.
제24장 애욕품(愛欲品) 탐욕과 은애(恩愛)에 빠지는 것은 바른 것이 아니지만 이러한 욕망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수없는 재앙과 해로움을 감수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고통스러운 모습을 보여주고, 이 애욕을 뿌리끝까지 잘라서 더 이상 싹이 자라지 못하게 할 것을 권하였다. 애욕품은, 탐욕과 은애(恩愛)에 빠지는 것은 천한 것인데. 세상 사람들은 이것을 위하여 수없는 재앙과 해로움을 마다하지 않는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愛欲品者 賤婬恩愛 世人爲此 盛生災害 애욕품자 천음은애 세인위차 성생재해 愛:사랑애 欲:하고자할욕 品:물건품 賤:천할천 婬:음탕할음 恩:은혜은 愛:사랑애 世:인간세 爲:할위 此:이차 盛:성할성 災:재앙재 害:해할해 ※은애(恩愛)-부모와 자식,형제 부부 사이에 서로 집착하는 장애를 말한다. 이것은 해탈에 큰 장애가 되므로 얽.. 2024. 2.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