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23

붓다의 수행관 ④ 대승불교 초기불교의 수행을 통해서 우리는 벽지보리의 깨달음을 성취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벽지보리는❶ 삼막삼보리의 전단계입니다. 따라서 벽지보리에서 머물러서는 안되고 삼먁삼보리의❷ 깨달음을 향하여 나아가야 합니다. 이처럼 벽지보리를 넘어서 삼먁삼보리를 얻고자 하는 실천이 바로 대승 불교의 수행입니다. 따라서 대승불교의 수행은 열반에 대한 부정에서 출발 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벽지보리를 넘어서는 것이 대승불교의 수행인데 벽지보리는 열반과 관련된 깨달음이기 때문입니다. 반야바라밀다의 수행 대승불교의 수행은 반야부 경전에서 먼저 설하는데 이 경전은 반야의 수행을 설하는 경전입니다. 그런데 반야는 실제 열반의 절대성을 부정하면서 출발합니다. 원래 반야는 인도 말 프라즈냐(prajna)를 소리 옮김 한것인데 이 말은 '프.. 2022. 5. 1.
붓다의 수행관 ⑤ 불국정토 아미타불 불교는 깨달음과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알려주는 나침판 입니다. 그리고 그 깨달음은 궁극적으로 자각(自覺)의 깨달음입니다. 그러나 정토부 경전에 오게 되면 누군가의 각타(覺他)에 의존하게 됩니다. 마치 유신론적 종교와 같은 타자의 힘에 의존하는 것이 한 방법이 되는데, 그 주된 방법이 아미타라는 부처님과 극락이라는 불국정토의 존재 및 염불왕생(念佛往生)의 진실을 믿는 것으로 규정됩니다. 자각(自覺)이라고 하지만 그곳의 불교도 자세히 살펴보면 역시 다른 존재의 도움을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곧 불교란 개인의 깨달으려는 노력과 붓다의 깨닫게 하려는 노력이 함께 어우러져 성취되는 것으로서 부처가 전제되지 않은 채 혼자서 깨달으려는 것은 어쩌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불교는 깨달은 자가 깨닫고자 하는 자를 깨닫게 .. 2022. 5. 1.
불타관 ① 붓다의 생애 이해 불교는 부처님의 종교입니다. 중생을 위해 붓다가 존재하므로 중생의 종교이기도 하나 그 중생이 결국에는 붓다가 되어야 하므로 최종적이고 궁극적인 불교의 모습은 역시 부처님의 종교인 것입니다. 이제부터 그러한 붓다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 때 무엇보다 주목되는 것은 붓다의 전기입니다. 왜냐면 붓다의 전기는 붓다에 관한 붓다의 말씀이기 때문입니다. 객체적 대상으로서 붓다라는 주제에 대해 언급하신 것이 아니라, 붓다께서 스스로 부처님에 대해서 말씀하신 것이므로 그 의미는 부처림이라는 존재에 대한 단순한 교리적인 언급을 넘어서기 때문입니다. 전생, 탄생, 출가 우리는 불타전을 살피면서 붓다 전생에 관한 수많은 이야기를 만나게 됩니다. 그런 전생 이야기는 매우 많아 아예《본생담 本生譚》이라는 이름으로 집성되.. 2022. 5. 1.
불타관 ② 붓다의 덕성 부처님의 덕성과 정체 우리는 흔히 막연하게 부처님을 떠올립니다. 그 부처님에게는 유신론적인 적대자의 이미지도 실려 있고, 자주 다니던 사찰에 모셔진 불상의 모습도 담겨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부처님의 고행상에서 받는 참혹한 느낌도 들어 있습니다. 이처럼 불자의 가슴마다 떠오르는 부처님은 일정하지 않을 뿐 아니라 잘못 입수한 정보로 채색된 경우도 많습니다. 우리 불자들이 떠 올리는 부처님은 누구에게나 일치하는 기본적인 통일성을 지녀야 합니다. 그 통일성에 바탕하여 각자의 신행하는 이력이 더해 져야 합니다. 여래십호 (如來十呼) 많은 교리적 편차에도 불구하고 부처님의 정체성에 대한 표현은 대승, 소승 경전이 일치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특히 부처님 스스로 자신에 대해 표현한 것으로 주목됩니다. 곧 부처님은 “.. 2022. 5. 1.
불타관 ③ 붓다의 시간적・공간적 이해 부처님의 최초 법문인 초전법륜경은 녹야원(鹿野園)이라고 하는 곳에서 설해졌습니다. 인도 바라나시 북쪽에 위치한 사르나트 녹야원은 사슴들이 많이 살았 있던 숲으로 동물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던 곳입니다. 이 곳에서 다섯 명의 다섯 명의 수행자들에게 처음으로 부처님 법이 설해지고, 다시 그 법이 바퀴처럼 구르고 굴러 온 세상으로 퍼져 나갔습니다. 그리고 부처님의 말씀은 경전에 실려서 여러 가지 모습으로 부처님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중 시간적, 공간적 입장에서 분류하기도 하는데, 이 항목에서 이것을 공부하겠습니다. 과거불, 미래불 부처님의 시간적 분류는 과거불과 미래불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과거불의 경우 과거칠불(過去七佛)❶ 사상을 중심으로 한 것과 그 외의 것이 있습니다. 먼저 과거칠불에 관한 전.. 2022. 4. 30.
불타관 ④ 법신과 화신불 법신과 보신 그리고 화신불 부처님에 관한 이해는 교학적인 공부가 진행되어 가면서 점점 복잡해져 가는데 그중 이 항목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불신(佛身)❶이라는 관점에서 붓다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사실 경전마다 불신에 대한 분류나 정의는 다양 합니다. 예를 들어 "여래의 몸은 두 가지가 있나니라. 하나는 생신(生身)이요, 하나는 법신(法身)이다.” 《대반열경大般涅經 제34권 가섭보살품 迦葉菩薩品》라고 하며 두 가지 불신을 설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불신을 세 가지로 분류하는 것과 다릅니다. 그리고 세 가지 불신을 설한다 해도 역시 다양한 삼신이 제시되는데, 어떤 경우는 삼신을 “첫째는 화신(化身)이요, 둘째는 응신(應身)이요, 셋째는 법신(法身)입니다.”《合部 金光明經 제13 신분별품 身分別品》.. 2022. 4. 30.
불타관 ⑤ 삼먁삼보리, 반야바라밀 벽지보리와 삼막삼보리 부처님이란? 깨달음을 얻은 분입니다. 그리고 부처님의 깨달음을 ‘아뇩다라삼막삼보리’❶라고 합니다. 아뇩다라삼막삼보리에 대해 논하는 것은 부처님에 대해 살펴보는 또 다른 핵심적인 방향이 될 것입니다. 그럴 때 우리는 먼저 아뇩다라삼막삼보리가 단 한 번에 성취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우선 아뇩다라삼막삼보리는 범어 아눗타라삼약삼보리(anuttarasamyaksambodhi)라고 하는데 그 뜻은 '최상의 바르고 원만한 깨달음’ 이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최상이라는 말은 그 하위의 것이 있다는 말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실제 경전에서는 일종의 하위의 깨달음에 해당하는 것을 설하고 있습니다. 1. 벽지보리의 존재 우리가 알고 있는 붓다는 위없는 깨달음을 얻는 사람이었고, 무상정등.. 2022. 4. 30.
붓다의 진리관 ① 진리성의 주장 진리성의 주장과 근본 입장 빛의 속도로 앞을 향해 달리던 기차에서 다시 빛의 속도로 앞을 향해 공을 내던졌다고 가정해 보자. 이때 던져진 공의 속도는 정지한 사람이 볼 때 얼마일까? 빛의 속도로 달릴 기차도 있을 수 없고 빛의 속도로 공을 내던질 사람이나 공도 원리적으로 불가능하지만, 이 물음의 핵심은 (빛의 속도)+(빛의 속도) = (얼마)' 인가 하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쉽사리 빛의 2배 속도를 생각해 볼 수 있다. 그것은 1+1=2라는 수식을 우리는 바탕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1+1=2! 우리는 이 수식을 신앙한다. 거의 대부분이 이 수식의 문제점을 의식하지 않고 살아간다. 그리고 살아가는 데 별다른 불편도 없다. 가히 수학적인 진리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러나 현대물리학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 2022. 4. 30.
붓다의 진리관 ② 다르마(法) 다르마(法)와 법칙성의 존재 법칙성의 존재 보편 타당성과 검증 가능성을 지닌 '진리' 를 표현하는 가장 불교적인 술어가 있다면 그것은 법칙성(法性, dharma)❶이라는 말로 보인다. 불교를 진리에 대한 깨달음의 종교라고 규정하기도 하는데 보다 자세히 말하면 그때의 진리는 바로 법칙성을 뜻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법칙 성이라는 술어를 자세히 살피면 진리에 대한 불교의 견해를 더 깊이 살 피는 것이 될 것이다. 불교에서는 일체의 존재들이 생멸변화하고 이합집산하여 항구불변의 것은 하나도 없다고 가르친다. 그러나 모든 것이 그렇게 끊임없이 변화 하고 있지만 그런 현상이 아무렇게나 멋대로 행해지는 것은 아니다. 그들 속에는 일정한 법칙성이 상주(常住)하여 그것에 의해서 그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인간과 .. 2022. 4. 30.
붓다의 진리관 ③ 인연의 법칙 인과율, 인연의 법칙 그리고 상의상관성 인간과 세계 사이에는 인과법칙이, 사물의 생멸 변화에는 인연화합의 법칙이 그리고 존재와 존재 사이에는 상의 상관성의 법칙이 존재한다. 이처럼 무상하다는 사실도 중요하지만 무상한 존재 속에 상주하는 이 법칙의 존재야말로 더욱 중요한 사실이다. 여기서 불교의 진리인 법칙성의 구체적인 내용으로 '인과율과 '인연의 법칙'과 '상의 상관성' 이라는 것을 알아본다. 인과율 먼저 불교에서 발견한 법칙성은 인과율이다.❶ 이 인과율은 십이처(十二 處)를 구성하는 주체적 인간[육근, 六根]과 객체적 대상[육경, 六境] 사이에 필연적으로 적용되는 법칙이다. 십이처설에서는 주체적 인간을 의지라는 말로 규정하고 객체적 대상을 법이라는 말로 규정하고 있다. 인간은 능동적 작용을 일으키는 힘.. 2022. 4. 30.
붓다의 진리관 ④ 십이연기 십이연기의 진리성 우리는 이 항목에서 십이연기설을 중심으로 불교의 진리를 음미하고자 합니다. 그러기 위해 우리가 미리 주의를 기울일 점이 있습니다. 그것은 이 가르침에 대한 이해가 대단히 어렵다는 것입니다. 일찍이 아난 존자는 “세존이시여, 연기란 깊은 것이며 깊은 곳에서 빛난다고 하지만 저에게는 아주 눈앞의 것처럼 보입니다.” 라고 하며 연기법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말씀드린 적이 있습니다. 그러자 붓다께서는 “아난아, 그런 말 하지 말라. 연기는 깊은 것이고 깊은 곳에서 빛난다. 아난아, 사람들은 이 법을 깨닫지 못하고 꿰뚫지 못하기 때문에...... 윤회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다.” 라고 설하셨습니다. 이처럼 연기의 법칙성에 대해 우리가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은 한계가 있고 그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2022. 4. 30.
붓다의 진리관 ⑤ 연기설 대승불교의 연기설 연기의 법칙성은 불교의 완성된 진리다. 그러한 연기의 법칙성을 십이연기설로 이해하는 것은 다분히 초기불교의 자료에 입각한 것이다. 그런데 불교에는 대승불교라는 영역이 있어 여기에 이르러 비로소 불교는 완성된다. 이 대승불교 안에도 연기의 법칙성은 불교의 진리를 표방하는 원리로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그 구체적인 표현은 다르다 하더라도 원리에 있어서는 일관됨을 볼 수 있다. 그래서 연기의 법칙성이 대승불교 속에 나타나는 것을 ‘반야부 경전' 의 차원과 유식학파의 차원 그리고 화엄학의 차원에서 살핌으로써 연기의 진리성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반야심경의 유심(惟心)적 사지연기 반야부 경전에서는 반야바라밀다(般若波羅蜜多)❶를 궁극적 실체로 삼는다. 그것에 이른 자와 그렇.. 2022. 4. 30.
붓다의 세계관 ① 우주의 생성과 전개 우주의 생성과 전개 인간은 누구나 자신이 몸담고 있는 우주에 대해서 알고 싶어한다. 이 우주의 시간적인 생성과 전재 그리고 앞으로 있을 미래의 경과가 어떤지를 알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공간적인 규모와 구성 및 그 유한함과 무한함에 대해서도 알고자 한다. 이러한 관심은 종교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대개의 종교는 이에 대해 답하고 있다. 그런데 불교에서는 다른 종교처럼 우주에 관한 자료를 찾기가 쉽지 않다. 특히 우주론의 핵심이 되고 있는 최초의 우주창조에 대해서는 더욱 그러하다. 이미 “우주의 시간적, 공간적 유한, 무한에 대해서는 무기(無記)하겠다.” 고 여러 차례 공언한 것을 보아도 이런 주제에 대한 붓다의 답을 찾기란 쉽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불교에서는 우주의 ‘창조’에 관한 자료는 발견할 .. 2022. 4. 29.
붓다의 세계관 ② 사회 구조와 역사 사회 구조와 역사, 사성계급 인간을 사회적 동물이라고 부르는 것은 진부한 이야기이긴 하지만 틀 림없는 사실이다. 인간 생존이 사회를 떠나 존재할 수 없는 이상 우리는 사회라는 것이 도대체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어떤 속성을 지니고 있는지 에 대해서 살피지 않을 수 없다. 불교는 사회라는 주제를 더욱 무게 있게 다룬다. 인도 사회가 계급 구조를 지닌 사회였고 그러한 계급은 출생으로 결정되는 심각한 것이었기 때문에 이 문제에 대해 다소간의 언급이 없을 수 없었다. 당시 인도 사회의 계급 구조에대한 부처님의 언급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많은 안목을 제시한다. 그래서 먼저 인도의 사성계급이 성립하는 배경 대한 부처님의 언표(말씀)부터 살피고자 한다. 성겁 다음에는 추겁(住)이라는 우주론적 시대가 온다.❶.. 2022. 4. 29.
붓다의 세계관 ③ 공업(共業) 제일원인으로서 공업(共業) 우주와 인간 사회의 성립과 구조에 대해서 살펴볼 때 우리는 인간의 주체적 활동으로서의 업(業)에 주목헤야한다. 그곳에서 업은 이미 우주론적 제일원인 (First Cause)의 위상을 지니는 것이다. 그런데 우주론적 전개의 제일원인으로서의 공업(共業)의관념은 몇 가지 생각할 문제 점을 남긴다. 공업이 진정 우주 전개의 초기 단계 때부터 원인으로 작용 하였는지에 대해서 인식을 통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부처님은 당시의 종교 사상들을 비판하실 때 항상 인식을 통한 확인을 전제하였다. 신이 우주를 창조했다는 바라문 사상가들에게 “과거로부터 바라문 사상가들 중에 누구라도 창조신을 본 자가 있는가?” (南傳 長部 《三明經》)라고 질문하시고 본 자가 없다는 그들의 답변을 들은.. 2022. 4.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