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23

불교의 수행-간경(看經) 불교에서 경전은 부처님의 말씀이요, 교훈이요, 진리 그 자체라 수 있습니다. 경전은 부처님 열반 이후 정법을 전하는 보고(寶庫)로 여겨 졌고, 그래서 경전을 신행의 지침으로 삼게 된 까닭이 여기 있습니다. 《법화경》 법사품에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어디서든지 이 경을 설하거나 읽거나 외우거나 쓰거나 이 경전이 있는 곳에는 마땅히 칠보로써 탑을 쌓되 지극히 높고 넓고 장엄하게 꾸밀 것이요, 또 다시 사리를 봉 안하지 말아라. 왜냐하면 이 가운데는 이미 여래의 전신 (全身)이 있는 까닭이니라.’ 경전이 부처님 진신사리와 다름 아님을 나타내는 경구라 하겠습니다. 이와 같이 불교 경전은 단순한 책이 아니라 부처님의 진신사리로서, 불상이나 불탑과 같이 예배 대상입니다. 뿐만 아니라 책이 귀하던 옛날에는 경전 한.. 2022. 4. 20.
불교의 수행-참선(參禪) 불교를 가리켜 '수행의 종교' 라고 합니다. 절대자에 대한 무조건적인 신앙을 강조하는 종교와 달리 불교는 수행을 중심으로 하면서 자력적 구제와 타력적 구제원리의 조화를 함께 추구하고 불교는 개인 능력과 근기에 맞는 수행법을 택하여 바른 깨 달음을 얻게 하는 다양한 수행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한 가지 수행법만 정해놓고 정진한다면 쉬울텐데 왜 다양한 방법을 제시할까? 하고 의문을 가진 사람도 있겠지만 불교에서는 모든 사람이 저마다의 능력과 타고난 성품에 차이가 있다보 보기 때문에 이들 각자의 근기에 맞추어 모두 함께 성불의 길로 나아가도록 하기 위해서 다양한 수행법을 같고 있습니다. 한국불교에서 전통으로 전해지는 자력적 수행법인 참선과 타력적 수행법인 기도 등의 수행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1. 참선이란.. 2022. 4. 20.
지혜로운 삶의 선택 산에는 꽃이 피네 자연은 모든 생명의 원천이고 사람이 기댈 영원한 품이다. 또 자연 은 잘못된 현대 문명의 유일한 해독제이다. 하늘과 구름, 별과 이슬과 바람, 흙과 강물, 햇살과 바다, 나무와 짐승과 새들, 길섶에 피어 있는 하잘 것 없는 풀꽃이라도 그것은 우주적인 생명의 신비와 아름다움 을 지니고 있다. 건성으로 보지 말고 유심히 바라보라. 그러면 거기에서 자연이 지 니고 있는, 생명이 지니고 있는 신비성과 아름다움을 캐낼 수가 있다. 모든 것이 다 필요한 존재이다. 이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다 필요한 것이다. 어떤 생물이 됐든 필요하기 때문에 생겨났다. 그런데 그것이 귀찮다고 해서 농약으로, 강한 살충제로 죽여 보라. 그 생 물만 없어지는 게 아니고 그것이 연쇄반응을 일으켜서 우리에게 진 짜.. 2022. 4. 20.
붓다의 전생설화 붓다께서는 지금으로부터 약 2,600여년 전에, 오늘날 네팔 남부에 위치한 카필라와스투(샤캬족의 首都)에서 사캬(釋迦)족의 왕인 정반왕(淨飯王)과 그의 왕비 마야(摩耶) 부인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성은 고타마(소중의 최상의 소를 뜻함)였고, 출가하기 전의 이름은 싯달타(悉達多)였습니다. 고타마 싯달타가 출가하여 수행 끝에 깨달음을 얻어 붓다가 되자 사람들은 그를 석가모니(釋迦牟尼) 즉, 석가족 출신의 성자라고 불렀습니다. 부처님께서 열반에 드신 후 붓다의 생애는 부처님의 일생 가운데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던 사건들을 중심으로 서술되기 시작하였습니다. 남방계통의 불전에서는 탄생과 성도, 초전법륜과 열반이라는 네가지 사건을 중심으로 서술하는 것이 정형이 되었고, 북방계 불전에서는 여덟 가지 사건을 중심으로 .. 2022. 4. 20.
붓다의 생애-도솔래의상(兜率來儀相) 부처님 도솔천에서 내려오시다. 히말라야 남쪽 산기슭, 갠지스 강의 한 지류인 라프티 강의 동북 유역 로 히니 천(川)의 주변에, 아랴인의 석가족(釋迦族)이 몇 개의 왕국을 이 루고 있었습니다. 붓다께서 태어나신 카필라국(迦比羅 城)도 그 가운데 한 나라였습니다. 지금의 네팔국 타라이(Tarai) 지방에 자리잡고 있었다는 카필라는 쌀을 주식으로 하는 비교적 풍요로운 농업국이었습니다. 당시 이 나라의 왕인 정반왕 (淨飯王)과 그의 부인 마야(摩耶)와의 사이에는 결혼한 지 20년이 넘도록 아이가 없었습니다. 한편, 호명보살이 10바라밀의 수행을 완수하고 도솔천에 머물고 있던 어느 날, 보살은 친히 세상에 내려가 부처가 되어 중생을 구제할 때가 된 것 을 알고, 자신이 태어나기 위한 때와 대륙과 지방과 가계와 .. 2022. 4. 20.
붓다의 생애-비람강생상(此藍降生相) 부처님 세상에 태어나시다. 모든 백성의 기대 속에 따스한 봄이 되고 해산할 날이 가까워지자 숫도다나왕은 데바다하로 향한 도로를 정비하고 향기로운 꽃으로 길가를 단장했습니다. 왕비는 백성들의 전송을 받으며 노래와 향기가 넘치는 길을 따라 아버지 안자나(Aijana)가 기다릴 데바다하(Devadaha)로 향했습니다. 마음으로는 한달음에 달려갈 고향이었지만 행렬을 이끄는 대신들의 걸음은 더 더기만 했고, 만삭의 왕비를 시중드는 시종들은 작은 기침 소리에도 고삐를 늦추고 길에 조막만한 돌멩이만 보여도 마차를 세웠으며, 해가 떨어지기 전에 숙소를 마련하고 아침 햇살이 대지를 적시고 나서야 길을 나섰습니다. 나지막한 언덕에 펼쳐진 샤까족들의 마을을 천천히 지나온 행렬은 히말라야의 눈 덮인 다울라기리 (Dhaulag.. 2022. 4. 20.
붓다의 생애-사문유관상(四門遊觀相) 싯달타 태자는 왕궁의 풍요 속에서 성장합니다. 7세가 되자 태자는 학문과 무예를 익히기 시작하여 곧 모든 학문과 무예에 통달하여 더 이상 그를 가르칠 만한 스승이 없게 되었습니다. 아버지 정반왕은 그를 극진히 생각하여, 계절에 따라 생활할 수 있는 세 곳의 궁전(三時殿)을 지어주는 등 온갖 호사 속에 성장하게 했습니다. 그러나 도성 밖 출입만은 언제나 금지시켰는데 그것은 태자가 현실의 고통과 접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였습니다. 7세 되던 해의 어느 봄날 태자는 부왕과 함께 농경제의 파종식에 참가했습니다. 그때 태자는 들에서 농경제에 참가한 농부들의 마르고 고단한 모습과 쟁기를 끄는 소들이 채찍에 맞아 피를 흘리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그리고 쟁기가 지나간 뒤 뒤집힌 흙 사이로 나온 벌레들을 잡아먹기 위해.. 2022. 4. 20.
붓다의 생애-유성출가상(嚴城出家相) 부처님께서 출가의 모습을 보이시다. 나는 하늘에 태어나기를 원치 않는다. 많은 중생이 삶과 죽음의 고통 속에 있지 아니한가. 나는 이를 구제하기 위하여 집을 나가는 것이니 위 없는 깨달음을 얻기까지는 결코 돌아오지 않으리라.〈오분율> 싯달타는 온갖 호화로움과 극진한 보살핌 속에서 청소년 시절을 보냈습니다. 그러나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생활도 비범한 재능을 발휘한 학문이나 무예도 결코 싯다르타에게 만족을 주지는 못했습니다. 그는 부족함이 없는 왕궁의 생활에 마음을 빼앗기기보다는 인간이나 세계와 같은 보다 본질적인 문제들에 관해 깊은 사색에 잠기는 일이 많았고, 인생의 여러 가지 문제들 가운데서도 특히 그를 괴롭힌 것은 생노병사(生老病死)와 같은 삶의 가장 근원적인 문제들었습니다. 아버지 정반왕(淨飯王)과 양.. 2022. 4. 20.
붓다의 생애-설산수도상(雪山修道相) 부처님께서 깨달음을 향해 정진하시다. 여러 스승에게서 배움을 얻고 곧 스승의 경지를 뛰어넘어 더 이상 그를 가르칠 자가 없었을 때, 수행자 고타마 싯달타는 다른 모든 수행자들이 그러하듯이 고행(苦行)의 길로 들어섰습니다. 그의 고행은 실로 다른 어느 누구도 흉내 내지 못할 극심한 것이었다. 부처님의 일생을 찬탄한 《불소행찬》에는 이에 대한 언급이 있습니다. "나는 실로 고행자 중의 최상의 고행자였다. 나는 남들이 바치는 음식도 받지 않았으며 풀과 떨어진 과일만 주워 먹었다. 나는 무덤 사이에서 시체와 해골들과 함께 지냈다. 그때 목동들은 내게 와서 침을 뱉고 오줌을 누기도 했으며 귀에 나무 꼬챙이를 쑤셔넣기도 했다. 내 목에는 여러 해 동안 때가 끼어 저절로 살 가죽을 이루었으며 머리는 길어 새들이 찾아.. 2022. 4. 20.
붓다의 일생- 수하항마상(樹下降魔相) 붓다께서 마침내 마왕을 항복시키시다. 지극한 마음으로 선정에 들어있는 수행자에게 모든 존재의 참모습이 드러날 때에 온갖 의혹은 사라져 버렸네 . 모든 것에는 원인이 있음을 환히 깨달았기에 지극한 마음으로 선정에 들어있는 수행자에게 모든 존재의 참모습이 드러날 때에 온갖 의혹은 사라져 버렸네 원인에 의해 생겨난 것은 모두 소멸됨을 깨달았기에 지극한 마음으로 선정에 들어있는 수행자에게 모든 존재의 참모습이 드러날 때에 마치 태양이 하늘에서 빛나듯 마왕의 대군을 물리치고 우뚝 섰다네 《남전 소부경전 (南傳 小部經典)자설경(自說經)》 1. 1~3 보리품 수행자 싯달타는 고행을 포기한 뒤 수자타(Sujata, 일설에는 Nandabala)가 올리는 유미죽 공양을 받아 기운을 회복하고 목동 스바스티카가 바친 부드럽고.. 2022. 4. 20.
붓다의 생애-녹원전법상(鹿苑轉法相) 붓다께서 진리를 설하시다. 붓다께서는 깨달음을 얻은 후 3×7일 동안 보리수 아래에서 머물며 삼매(三 味)에 들어 있었습니다. 삼매에 든 붓다는 깨달음의 내용이 매우 심오하고 난해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에게 말하더라도 이해되지 않을 것이라고 걱정하며 진리를 설할 것을 주저하고 계셨습니다. 이때 붓다의 심정을 경전에서는 이렇게 전하고 있습니다. 고생 끝에 겨우 얻은 이것을 어떻게 또 남들에게 설해야 하는가? 오! 탐욕과 노여움에 불타는 사람들에게 이 법을 알리기란 쉽지 않아라 《상응부경전, 6. 1, 권청》 탐욕과 자기 생각에만 사로잡힌 중생들에게 진리를 알리기가 어려운 것 입니다. 그러나 붓다께서는 탐욕에 사로잡혀 있다가 반성하면서 후회하는 사람들이 있음을 또한 아시고 가르침을 설하시기로 합니다. 범천의.. 2022. 4. 20.
붓다의 생애-쌍림열반상(雙林星槃相) 붓다께서 육신을 버리고 열반에 드시다. 보리수 아래서 깨달음을 얻으시고 진리의 수레바퀴를 굴리신 지 45년, 그 기간 동안 붓다께서는 한시도 중생의 곁을 떠나지 않으신 채 삶의 현장에서 함께 동고동락하셨습니다. 몸에 지닌 것은 가사 한 벌과 발우 하나뿐이었지만 온 우주를 꿰뚫는 진리의 몸이시고 대자비의 몸이시기에 인간은 물론 하늘의 신들도 경배하고 받들었습니다. 그러나 80세가 되시던 해에 부처님은 아난존자에게 “나는 이미 모든 법을 설했고 내 주먹 속에 감춰진 비밀은 없으며 내 육신은 이제 가죽 끈에 매여 간신히 움직이고 있는 낡은 수레와 같다”라고 말씀하시고 “너희 제자들은 자기를 등불로 삼고, 자기를 의지처로 삼으며, 법을 등불로 삼고, 법을 의지처로 삼아 다른 것에 의지하지 말라”고 이르셨습니다... 2022. 4. 20.
연꽃과 불교의 인연 ∴ 우리는 연꽃이 불교를 상징하는 꽃이라고 보통 알고 있습니다다. 그런데 연꽃은 불교가 나타나기 전에 세상에 존재했고, 또 불교 신자가 아닌 사람들도 좋아하는 일반적인 식물입입니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자연의 식물인 연꽃은 자신의 의사와 상관없이 불교를 상징하는 꽃이 되어버린 것입니다. ‘불교를 상징한다’는 말은 따지고 보면 이 꽃의 자연적 의미와는 관계없이, 불교도들이 일방적으로 그렇게 정하고 신성한 꽃으로 인식하고 있을 뿐입다. 그럼 왜 이 연꽃이 불교를 상징하는 꽃이 되었을까? 자연식물로서 연꽃을 백과사전에는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미나리아재비목 수련과의 여러해살이물풀. 속명은 그리스 신화의 물의 요정 님프에서 연유한다. 수련속(睡蓮屬)에는 약 40종이 있는데, 모두 수생의 여러해살이풀이며, 대형.. 2022. 4. 19.
불교 기본교리 불교란? 석가모니 부처님을 교주로 모시고 부처의 가르침을 전하는 종교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르침의 내용은 부처가 창조한 것이 아니고 이미 존재하는 진리이기 때문에 그것을 깨달아야 합니다. 부처가 된다는 것은 우리에게 이미 주어져 있는 지혜와 능력을 깨달음을 통해 회복한다는 것이며, 이는 곧 우리의 삶이 어디에도 종속되지 않는 주인의 삶, 깨어있는 삶이 된다는 것입니다. 부처의 가르침의 최종적인 목표는 개인적인 미혹에서 벗어나 진리의 본생을 회복하는 지혜인 상구보리(上求菩提)와 모든 중생과 사회를 정화시키고 구제하여 이상세계를 이룩하는 하황중생(下化衆生)의 자비입니다. 삼독(三毒) : 세 가지 무서운 독 누구나 부처님이 될 수 있는 종자를 갖고 있지만 그 성불의 경지에 이르는데 항상 장애물이 되는 것을 .. 2022. 4. 18.
불교의 기본 사상-계율 붓다께서는 출가수행자들에게 특히 엄격한 계율과 수행 방법을 가르치셨습니다. 이런 엄격한 규범들을 재가불자들에게까지 요구하는 것은 아닙니다. 재가불자들은 출가 수행자 처럼 전문적인 수행이나 계율을 따르기가 어렵고 특히 가정을 꾸리고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직업을 영위해야 하는 재가자들에게는 가장 기본적인 계율만이 주어져 있는데 이른바 오계(五戒)와 팔재계(八 齋戒)가 바로 그것입니다. 오계는 일상생활에서 항상 지켜야 할 계율로서, ①산 목숨을 죽이지 말 것(不殺生), ②도둑질을 하지 말 것(不偸盜), ③혼인의 순결을 유지할 것(不邪煙), ④거짓말하지 말 것(不安語) 그리고 ⑤음주하지 말 것(不飮酒) 등 다섯 가지를 말합니다. 또한 팔재계는 포살일에 지키는 계율을 말하는데 여기에서 포살(布薩)이라고 것은 자신.. 2022. 4. 18.
반응형